원스톱전환서비스란 무엇이고 왜 필요한가?
초고속인터넷과 유료방송(IPTV·위성방송)을 결합한 상품을 이용하다가 다른 사업자로 변경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? 기존에는 기존사업자에게 해지 신청을 하고, 신규사업자에게 개통 신청을 해야 했습니다. 이 과정에서 해지 거부나 지연, 제한 등의 불편이 발생할 수 있었습니다.
하지만 지난해부터 도입된 '원스톱전환서비스’를 이용하면 이런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습니다. 원스톱전환서비스란 기존사업자에게 별도의 해지 신청을 하지 않고 신규사업자에게 서비스전환 신청만 하면 해지와 개통을 한 번에 처리해 주는 서비스입니다.
이 서비스는 방송통신위원회가 유선통신분야 결합상품 해지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한 것으로, 통신 4사(SKT·KT·LGU+·SKB)와 종합유선방송 4사(LG헬로비전·딜라이브·현대HCN·CMB), 위성방송사(KT-Skylife) 등 9개사가 참여하고 있습니다.
이번 포스트에서는 원스톱전환서비스의 장점과 이용방법, 그리고 활성화를 위한 방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원스톱전환서비스의 장점
원스톱전환서비스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.
- 시간 절약: 기존사업자와 신규사업자 간의 연결과정이 단축되어 서비스 전환 시간이 줄어듭니다.
- 비용 절감: 기존사업자와 신규사업자 간의 요금 정산이 자동화되어 과다납부나 중복납부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.
- 불필요한 상담 감소: 기존사업자의 해지 거부나 지연, 제한 등의 행위가 방지되어 불필요한 상담이 줄어듭니다.
- 고객 만족도 향상: 고객은 편리하게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고 이용할 수 있으므로 만족도가 향상됩니다.
원스톱전환서비스의 이용방법
원스톱전환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따르면 됩니다.
- 신규사업자에게 전화: 원하는 결합상품을 선택하고 신규사업자에게 전화하여 서비스전환 신청을 합니다. 신규사업자는 고객의 동의를 얻고 기존사업자에게 해지 요청을 합니다.
- 기존사업자에게 전화: 기존사업자는 해지 요청을 받고 고객에게 전화하여 해지 사실을 확인합니다. 고객은 기존사업자와의 계약을 해지하고 신규사업자와의 계약을 체결합니다.
- 서비스 전환 완료: 기존사업자와 신규사업자는 서로 요금 정산을 하고, 신규사업자는 고객에게 서비스 개통을 알려줍니다.
원스톱전환서비스의 활성화 방안
원스톱전환서비스는 이용자의 편의를 위해 도입된 서비스이지만, 아직 많은 이용자들이 이 서비스를 잘 알지 못하거나 이용하지 않고 있습니다.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번 시장점검 회의에서 원스톱전환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했습니다.
- 고객센터 상담원의 접수 수수료 인상: 고객센터 상담원은 원스톱전환서비스를 접수할 때 수수료를 받습니다. 이 수수료를 인상하면 상담원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원스톱전환서비스를 안내하고 접수할 수 있습니다.
- 영업 대리점 원스톱전환 인센티브 인상: 영업 대리점은 원스톱전환서비스를 접수할 때 인센티브를 받습니다. 이 인센티브를 인상하면 대리점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원스톱전환서비스를 홍보하고 접수할 수 있습니다.
- 고객센터 전문상담 인력 증원 및 상담원 교육 확대: 고객센터 전문상담 인력은 원스톱전환서비스에 관한 지식과 경험을 갖춘 인력입니다. 이 인력을 증원하고 상담원 교육을 확대하면 고객들에게 더욱 정확하고 친절하게 원스톱전환서비스를 안내할 수 있습니다.
- 대리점에서도 접수할 수 있도록 접수창구 확대 시행: 현재 원스톱전환서비스는 고객센터에서만 접수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대리점에서도 접수할 수 있도록 접수창구를 확대하면 고객들이 더욱 편리하게 원스톱전환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이상으로 원스톱전환서비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원스톱전환서비스는 유선통신분야 결합상품 이용자들의 편의와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도입된 서비스입니다. 이 서비스를 잘 활용하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고, 불필요한 상담을 줄이고,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고 이용할 수 있습니다.